1. 기본 전략
- 지속적인 투자를 확보할 수 있는 제도를 구축하고 효율적인 사업 추진안 마련
- 21세기 농업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연구소 조직체계를 정비
- 지역농민, 신지식인, 지역주민의 이해와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열린 공간 제공
- 연구원의 지속적인 대화의 장 마련
2. 세부 전략
- 운영의 활성화
- 홈페이지의 적극적인 운영 체제 구축
- 대 농민 상담실 설치
- 연구인력의 확보
- 연구소 차원의 연구사업을 확보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임연구원 확보
- 농과대학 교수로 한정된 겸임연구원은 연구영역에 따라 타 대학으로 확대
- 연구자문위원은 도청, 농업과학기술원, 산림환경연구소, 축산시험장 등 관계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확대 위촉하고 지속적인 교류관계를 유지
- 연구활동의 강화
- 국제논문, 국내논문 투고에 따른 인센티브를 적용
- 학술진흥재단, 한국과학재단, 농림부 농림기술개발사업 등 연구소 차원의 공동연구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연구비 확보에 적극적으로 대처
- 지방자치단체, 벤처기업 등과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
- 국내외 유사 연구소와 학술교류 및 학술활동을 통해 연구 인프라를 구축
- 국제, 국내, 지역차원의 학술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
- 학술지는 물론 대 농민 기술 지도를 위한 정기적 인쇄물을 발간
- 연구환경의 개선
- 연구기자재 및 실험실 공간을 확보
- 교내 및 교외 지역에 전임, 겸임연구원의 연구실습포를 확보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도록 지원